암벽 등반
특징
1)등반가들이 벌이는 게임
암벽등반은 모험의 추구, 특히 추락을 무릅쓴 모험이다. 그러나 등반가들은 모험을 추구하면서도 위험요소들을 잘 관리해 나간다.
암벽등반이란 이름의 게임에 참여한 등반가들은 암벽의 상황과 자신의 능력을 대비해 가며 계산된 모험을 즐기는 것이다.
2) 누구나 할 수 있다
암벽등반기술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배워 얻는 기술이다. 따라서 누구나 암벽등반을 배울 수 있으며,
신체조건이 문제가 아니라 진정 중요한 것은 암벽을 오르고 싶다는 강렬한 동기와 자기의 노력이다.
3) 여자도 잘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자는 남자에 비해 힘이 약하지만 체중이 가벼워 남자만큼의 큰 힘을 절실히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자기 몸을 지탱하고, 이동시키고, 끌어당기는 힘만 있으면 된다. 힘이란 것은 단련에 의해 증진될 수도 있다.
남자와 마찬가지로 여성등반가에게도 진정 필요한 것은 암벽등반에 대한 강렬한 동기와 자신감이다.
4) 이런 순서로 배우자
먼저 바위와 친숙해지자. 내가 잡고, 더듬고, 밟고, 꼬집고, 투정을 부릴 대상이다. 암벽등반의 진수는 동작에 있다.
초보자는 줄에 몸을 묶는 것을 배우기 이전에 암벽에서의 몸움직임에 대한 기술을 먼저 터득해야 한다.
특히 올바른 등반자세와 동작, 부드럽고 미끈한 스타일을 체득하는데 온 신경을 집중해야 한다. 쉬운 암장이라면 길게 올라가 보기도 하고 걸어서 내려오기도 하며 자신을 콘트롤 해본다.
연습중에는 서로서로 신경을 써서 상대방이 곤란에 빠지면 재빨리 도와주어야 한다.
주의점
올라가기 전에 충분히 바위를 관찰하고 올라갈 루트를 검토해야 한다. 루트 상에 박혀있는 볼트, 설치할 장비, 확보지점 등을 등반전에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한다.
낙석에 조심해야 한다. 헬멧은 낙석에서만 유효한 것이 아니고 추락시 머리를 보호하는 장비이다.
또한 자기 스스로 돌을 떨어뜨리지 말아야 한다. 습기가 생기면 바위는 미끄러지기 쉽다. 비가 올 때 바위를 오르는 것은 피해야 한다.
발로 서고 발로 올라가도록 해야 한다. 즉 바위를 걷는다고 생각해야 한다. 손은 홀드를 가볍게 잡는 정도로 하고 몸을 쓰기위한 보조로만 생각해야 한다. 너무 위에 있는 홀드나 스탠스는 쓰지 말아야 한다. 상체는 바로 세워 바위에 붙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음의 홀드를 확실히 살피면서 올라가도록 해야 한다. 행동은 리듬에 맞춰서 해야 한다. 바위 틈에 있는 풀이나 썩은 나무가지를 잡지 말아야 한다. 두 손을 같이 홀드에서 떼지말고 한손과 두발, 두손과 한발의 삼지점 확보로 등반해야 한다.
격한 동작보다 조용하고 침착한 행동을 해야 한다. 충분한 검토는 우선 눈으로 살펴야 한다. 확실한 예정루트를 잘 볼 줄 알아야 한다. 확보는 언제나 정확히, 생명이 걸려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무리한 행동은 삼가야 한다. 올라갈 때와 같은 신중한 태도와 속도로 하강해야 한다.
등반법
(1). 밸런스 클라이밍 (Balance Climbing)
A.균형의 유지, 체중의 적절한 분산, 올바른 중심이동이 중요
B.완사면에서 풋 홀드에 편히 서기, 한쪽 발에서 다른쪽 발로 체중 옮기기, 새로운 자리로 일어서기
체중을 실은 뒷다리는 곧게 펴고 발뒤꿈치는 내린다. 손은 가슴높이 정도로 하고 주로 밸런스를 유지하는 구실
C.급사면에서 엉덩이와 어깨를 어떻게 두느냐가 중요. 엉덩이는 들어가고 등이 젖혀져서 어깨가 뒤 로 나온 자세 (체중을 발에 싣는다)
(2). 발쓰기 기술
A.풋홀드 (Foot Hold)
등반은 다리와 발을 써서 해야 팔힘을 절약할 수 있다. 핸드홀드를 찾으려 하지말고 아래를 보고 풋홀드를 찾아라. 경사가 진 풋홀드는 등반자의 전체중을 걸어야만 미끄러지지 않는다.(마찰력은 중력이 가해져야 작용)
B.발을 쓰는 기술
문질러 딛기(Smearing) 가장자리로 딛기(Edging) 발끝으로 서기(Toeing)
(3). 핸드홀드 (Hand Hold)
A. 홀드를 잡을 때는 항상 엄지도 함께 사용
B. 손가락은 서로 단단히 모아서 홀드를 눌러 주거나, 아주 작은 홀드의 경우 손가락을 겹쳐 얹으면 강한 지지력을 얻음
(4). 크랙 등반법 (Crack Climbing)
A. 핸드 잼 (Hand Jamming)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손의 모양을 만들어라. 엄지를 충분히 활용하라
B. 풋 잼 (Foot Jamming)
(5). 반대방향의 힘을 이용한 등반
A. 레이백 (Layback) 등반
손으로는 당기고 발로는 반대편을 밀어 생기는 짝힘으로 지지력을 얻는 기술. 가급적 신속히 과감하게 행한다.
B. 침니 등반
(6). 오버행 (Overhang) 등반
A. 발은 항상 바위면에 붙인다
B. 주의깊게 동작을 계획한다
C. 팔과 다리는 곧게 편다
D. 다리힘은 팔힘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하강법
(1). 확보물의 설치
A. 슬링의 각도가 작을수록 안전 (90도 이하)
B. 슬링을 한번 뒤틀어서 묶으면 가장 안전 (equilibrium)
C. 하켄을 좌우로 벌려서 박는 것보다 아래 위로 벌려서 박는 것이 더 안전
(2). 줄의 설치
A. 두 동의 줄을 연결하여 밑으로 던진다
B. 연결방법 - 피셔맨 매듭 : 크랙 하강시
오버핸드 매듭 : 크랙이 없는 페이스 하강시
8자 매듭 : 굵기가 다른 두개의 줄 연결시
C. 던질때
줄 한동을 절반으로 갈라서 중간을 먼저 던지고 나중에 밑의 끝부분을 던져야 엉키지 않는다.
(3). 하강 방법
A. 현수하강법 (몸자하강, S자 하강)
안전벨트나 하강기 없이 줄만으로 하강, 오른쪽 넙적다리를 감싸서 왼쪽 어깨뒤로 줄을 돌림
※ 주의점
티셔츠와 짧은 바지는 금물, 하강시 몸을 너무 뒤로 기울이면 줄이 넓적다리에서 무릎쪽으로 이동하여 위험, 뒷손은 절대 놓으면 안됨 (왼손 잡는쪽 줄에 프루지크매듭 사용)
B. 즉석에서 만든 슬링을 사용하는 하강법
안전벨트가 없을 시 슬링으로 안전벨트를 만들고 링카라비나를 사용하여 하강
C. 카라비나를 사용하는 하강법
이탈리안 프릭션 히치 매듭을 사용, 여러개의 카라비나를 사용
D. 각종 하강기를 사용하는 하강법
8자 하강기, 로보트 하강기 : 떨어뜨릴 염려가 있으며 줄 2동이 한번 꼬인 상태로 걸리기 때문에 오버행에서 몸이 회전(회수시 조심)
박쥐 브레이크 : 하강기를 카라비너에서 빼지 않고 조작이 간편하나 하강이 부드럽지 않고 과열될 위험(빌레이용, 장거리 하강은 위험)
로우 튜버, 하강링, 자일 브렘죄 : 가볍다
E. 주의점
옷이나 머리카락 등이 하강기에 끼지 않도록 주의 안전카라비나(링카라비나)와 같이 사용
(4). 외줄로 하강할 때
A. 8자 하강기의 작은 구멍에 끼어서 사용
B. 줄을 한번 꼬아서 하강기에 설치
(5). 하강중 정지
A. 하강기 위에 프루지크 매듭을 묶는다
B. 일시 정지 : 하강기 밑 줄을 꼰다
(6). 비상시의 하강
A. 톱을 내려 보내고 라스트는 줄을 위로 잡아당겨서 확보물에 하중이 되도록이면 적게 걸리도록 한다
B. 톱은 밑에 내려온 뒤 튼튼한 확보물을 많이 설치
C. 톱은 줄의 양끝을 연결하여 묶은 뒤 밑의 확보물에 통과
D. 라스트는 줄의 양쪽끝을 모두 팽팽하게 위로 당겨서 각각 벨트에 묶는다
E. 라스트는 줄 한동을 흔들거리는 하켄에 통과
F. 라스트는 클라이밍 다운한다
(7). 하강시 주의할 점
A. 하강은 튼튼한 확보물이 있는 곳에서(절대 안전한 곳에서)
나무 : 썩은 나무는 위험, 밑둥에 슬링을 건다
암각 : 슬링이 빠질 염려는 없는지 확인
피톤, 하켄, 볼트 : 썩었는지 확인, 슬링 확인
B. 자신이 직접 하강용 확보물을 설치하여 하강하는 경우 확보자와 하강용 줄은 따로
C. 하강길이를 모르거나 비상시를 대비하여 줄의 양끝을 묶고 던진다 (큰 매듭이 좋다)
D. 제일 먼저 하강하는 사람은 프루지크 매듭용 슬링 2개나 등강기를 꼭 지참하여야 한다
E. 하강용 줄은 날카로운 모서리나 크랙에 놓이지 않도록 주의
F. 연속하강 (2피치 이상 하강)시 제일 먼저 하강한 사람이 회수할 줄을 하강용 링이나 피톤에 넣고 양끝을 묶는다. 다음 사람부터는 확보줄을 하강용 줄에 통과시키고 하강
G. 회수할 줄이 어느것인지 숙지
H. 줄이 출렁거리지 않도록 천천히 하강
'Climbing Utility > rock climbing 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클라이머에게... (0) | 2012.06.01 |
---|---|
등반중 주의사항 및 작은 실수를 피합시다. (0) | 2012.05.07 |
(펌) 암벽등반의 유용한 팁 (0) | 2012.04.20 |
(펌) 암벽등반의 기본 (0) | 2012.04.20 |
(펌) 등반시스템 참고사항 (0) | 201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