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mbing Utility/rock climbing 교실

(펌) 등반시스템 참고사항

마칼루2 2012. 4. 20. 15:50

* 멀티피치 등반 순서

 

1. 등반시작(출발!)
2. 자기확보(확망痴×?amp;nbsp; 도달하면 가장 먼저)
3. 등반완료(완료!)
4. 등반완료후 아무런 신호없이 바로 여분의 로프를 당겨서 사림(후등자가 '대기'할 때까지)
5. 후등자 확보준비(간접확보)
6. 후등자 출발(출발!)

7. 후등자가 바로 근처까지 오면 후등자 자기확보방향(왼쪽.오른쪽)을 알려주고 자리를 내준다.

   후등자 자기확보방향은 선등자가 등반하려는 방향의 반대방향이다.

8. 후등자 자기확보
9. 후등자 등반 완료(완료!)
10. 후등자가 등반완료하면 확보기를 볼트에서 뺀후 벨트 앞고리에 장착
11. 선등자로부터 로프를 건네받은 후 선등자 확보 준비(직접확보)
12. 선등자 출발(출발!)

13. 선등자 등반완료(완료!)

14. 로프를 후등자에게 넘긴후 등반준비

 

* 로프 연결은 로프연결8자매듭이나 이중피셔맨즈매듭으로 하되 반드시 옭매듭을 하여야 한다.

* 확보매듭은 고리팔자매듭으로 하되 가능한 로프연결매듭과 가까이 하고, 로프연결매듭 윗쪽으로

   한다. 혹시 로프가 풀렸을 때를 대비해서...

 

 

* 매듭법 요약

 

매듭의 종류

매듭의 특징

매듭의 용도

Knot

1. 옭매듭

막매듭

간단한 고리를 만들거나 다른 매듭을 한 후 풀리지 않도록 끝처리를 하는 매듭

2. 테이프매듭

이 매듭의 단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쉽게 풀어지기 때문에 매듭을 할때 매우 단단히 조여주어야 함

주로 웨빙(테이프슬링)을 묶는데 사용

3. 이중피셔맨즈매듭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는 풀기 어렵운 단점이 있음

2개의 로프를 서로 연결할때 많이 사용

4.

 

팔자매

고리 8자매듭

 

로프의 중간과 등반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된 잠금카라비너를 연결할 때 많이 사용

② 되감기 8자매듭

조여진 후나 얼어 붙었을 때에도 풀기 쉽다. 로프의 끝은 반드시 1- 2회정도 옭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안전

로프의 한쪽끝을 안전벨트에 직접 매듭할시 가장 확실한 매듭, 나무나 고정된 확보물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 사용

이중되감기 8자매듭

풀리지 않도록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끝을 옭매듭으로 처리하거나 카라비너를 걸어 두어야 한다.

 

로프의 중간을 등반자의 안전벨트에 8자매듭으로 연결할 때

④ 로프연결 8자매듭

강도가 높고, 충격을 받은 후에도 잘 리는 장점

로프를 서로 연결할때 가장 많이 사용

5.

 

보올라인매듭

①보울라인매듭

매듭이 헐거워져 뒤집힐 경우 로프가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로프의 끝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묶어야 한다.

로프의 한쪽끝만으로 나무,고정확보물등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할 때에 사용

②되감기보울라인매듭

 

로프의 끝으로 안전벨트에 묶는 매듭

③이중보울라인매듭

매듭의 끝은 풀림방지를 위하여 옭매듭이나 카라비너를 걸어서 마무리

로프의 중간을 두줄로 하여 안전벨트에 직접 묶는 매듭

④요세미테식보울라인

강도가 보완되며 끝이 잘 풀리지 않도록 처리한 매듭

로프의 끝을 안전벨트에 연결하는 매듭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

Hitch

클로브 히치

로프의 중간을 카라비너에 쉽고 빠르게 매듭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  앞뒤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음

로프의 임시고정용, 등반자의 자기확보용 매듭으로 널리 쓰임

하프 클로브 히치

선등자와 후등자를 손쉽게 빌레이할 수 있는데, 매듭이 뒤집히며 선.후등자의 등반로프를 풀어주고 당겨주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쉽게 제동도 할 수 있다.

만약 빌레이기구가 없거나 등반중 분실했을 때, 이 하프 클로브히치에 의한 빌레이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 하강에도 이용할 수 있음

③거스히치, 오버핸드슬립

특히 거스히치는 매우 자주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매듭

피톤(하켄)이나 아이스스크류등이 완전히 박히지 않았을 때, 나무에 슬링을 두를때, 슬링을 안전벨트에 걸때, 두개의 슬링을 연결할 때

Friction

① 프루지크 매듭

슬링은 반드시 코드슬링으로 주로프보다 가는 5- 7mm의 코드슬링을 사용

초보자나 위험한 곳을 하강할 때 보호장치, 추락자 고정시, 구조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

② 바흐만 매듭

프루지크매듭보다 매듭의 상하이동이 매끄럽고 하중이 걸린 후에도 매듭이 쉽게 느슨해 진다. 부상당한 등반자가 스스로 자기확보를 하며 오를때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는 점과 웨빙슬링을 사용할 수있다는 점이 큰 장점

③ 클렘하이스트매듭

마찰로 인한 슬링의 손상이 매우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매듭 역시 바흐만매듭과 같이 프루지크매듭보다 상하작동이 용이하고 좋은 손잡이를 제공한다는 장점

 

 

 

* 확보 및 하강법

 

1. 톱로핑에서 등반시 손동작(4/4박자)


2. 톱로핑에서 하강시 손동작(손을 내려서 왼손(감지손) 엄지손가락을 카라비너에 끼움

    오른손(제동손)은 뒷쪽에 위치)


3. 선등자 확보시 손동작(3/4박자) 


4. 후등자 확보시 손동작(3/4박자)


5. 로프사리기(좌우 50cm 정도)


6. 퀵드로 로프 통과 방법(로프 앞뒤를 동시에 통과)


7. 하강시 손위치, 하강법

  -  왼손(감지손)은 윗쪽에 오른손(제동손)은 아래쪽에 위치

  -  몸의 체중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하강

  -  눈은 내려갈 루트를 주시하고 몸을 약간 옆으로 돌린 상태로 하강한다.

  -  하강기를 떨어뜨리는 등 비상시는 카라비너(잠금)를 이용하여 하강한다.

 

8. 하강로프 설치
  - 한동의 로프로 하강을 할 경우 로프의 양끝을 일치시킨후 내려보낸다.
  - 두동을 사용하여 하강할 경우, 연결에 사용하는 매듭은 되감기 8자매듭이나 이중피셔맨즈매듭을

    사용하고 하강후 회수할 때 어느쪽 로프를 당겨야 회수 가 되는지 확인한다.
  - 로프를 밑으로 던질 때는 로프를 나비형사리기(butterfly coil)로 잘 사려서 두 개의 뭉치로

     잡은 다음 하강확보물에 가까이 있는 뭉치부터 밑으로 던지고 나 머지 뭉치를 따라서 던진다.

  -기존의 하강루트에서 로프를 던질때에는 "줄내려갑니다."라고 큰 소리로 밑의 등반자들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 던져진 로프가 지상 또는 다음 하강확보지점에 닿았는가를 분명히 확인해야 한다.

     눈으로 확인되지 않을 경우 로프의 양끝을 함께 8자매듭과 같이 큰매듭 으로 묶어서 던져야 한다.

  - 하강로프는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퀵드로를 이용하여 양쪽 카라비너에

     까베스땅 매듭으로 고정한다.

 

9 하강중 정지
하강중 정지해야 할 상황은 많이 있다. 로프가 엉켜 있거나, 확보물을 설치하거나, 구조를 해야 하거나, 사진을 찍는등 하강을 멈추고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가장 손쉬운 방법은 8자하강기를 사용할 경우 제동로프를 하강기의 큰 구멍 반대쪽으로 꺽어줌으로써 간단한 멈춤을 할 수 있다. 장시간의 정시에는 프루지크매듭이나 등강기를 이용하여 정지한다.

 

10. 카라비너 및 퀵드로 거는 방법

   ①확보물(일반적으로 볼트나 피톤)에 카라비너를 직접 연결할때 개폐구를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② 퀵드로를 이용하는 경우 확보물에 연결되는 카라비너의 개폐구를 안쪽으로 향하여

      후등자가 회수하기 쉽도록 하고 로프에 연결되는 카라비너는 개폐구를 바깥쪽 방향으로

      하여 추락의 충격으로 인한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 등반신호(Climbing Signal)

안전등반을 위해 우리사이 등반자들은 다음과 같이 등반신호를 통일한다.

등반신호

누가→누구에게

의미

확보준비되었습니다

     확보자→등반자

확보준비가 되었다

장비점검

     등반자→확보자

장비가 이상없나 확인해달라

장비점검 이상무

     확보자→등반자

장비가 이상없으니 등반해도 된다.

출발?

     등반자→확보자

등반준비되었다. 출발해도 되는가? Climbing?

출발!

     확보자→등반자

출발해도 좋다. Belay on / Climb

완료

     등반자→확보자

등반을 끝내고 확보하였다. 내 확보를 안봐도 좋다. Belay off

완료

     확보자→등반자

좋다. 더 이상 너의 확보를 보지 않겠다. Ok! / Belay Off

대기

     확보자→등반자

아직 확보가 안되었다. 기다려라. Don't Climb / Stand b

줄당겨

     등반자→확보자

로프가 늘어졌다. 로프를 당겨라. Tension / Up Rope / Watch Me

줄늦춰

     등반자→확보자

로프가 너무 팽팽하다 로프를 늦춰라. Slack

로프고정

     등반자→확보자

추락하지 않도록 로프를 고정해달라  rope fix

낙석

  등반자 전체에 적용

돌이 떨어지니 피하시오. Rock / Ice

줄내려갑니다.

  등반자 전체에 적용

로프를 밑으로 던지니 조심하시오. Rope


 

* 암벽장비

No.

장비명

규격

수량

선택

비고

1

헬멧

N/A

1

필수

 

2

암벽화

N/A

1

필수

 

3

로프

60m

1

필수

60m 규격 준수

4

안전벨트(하네스)

N/A

1

필수

 

5

잠금비너

N/A

3

필수

리보소 사용자는 잠금비너 1개 추가. 잠금비너 1개는 색깔을 달리할 것.

6

일반비너

N/A

2

필수

 

7

퀵드로우

N/A, 10cm, 15cm

10(5)

필수

선등자 10개, 후등자 5개

8

쵸크백

N/A

1

필수

 

9

테잎슬링

1.5cm이상, 길이60cm(박음),

1.6m(풀림) 내외, 2.2kn 이상

3

필수

 후등자는 가능한 박음슬링으로 준비

10

코드슬링

지름 6-7mm, 길이 1.5m 내외

1

필수

 

11

하강기

리보소(권장), 튜브형,

8자하강기(비추)

1

필수

비상시는 잠금카라비너를

하강기 대신 사용 가능

12

데이지체인

14kN 이상

1

필수

 

13

Set

1

필수(선등)

초보자는 많이 쓰는 부분 보완

14

쥬마

N/A

1

필수(선등)

 

15

확보기

신치(권장) or 그리그리

1

권장

잠금비너를 세트로 구입

16

티블락

N/A

1

권장

          

17

클라이밍테잎

N/A

1

권장

 

18

확보/하강 장갑

N/A

1

권장

확보.하강용 장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