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칼루2 2011. 4. 18. 15:46

추락 계수
 
신체가 자유낙하 하며 발생하는 추락 충격은 매우 크다.
예를 들어 체중이 70 kg 인 사람이 10 m 를 자유 낙하 하면 약 6,900 kg 의 에너지가 발생
한다.
 
그러나 로프를 사용한 등반에서 추락은 로프,확보자,확보물 등 여러가지 충격 흡수요소
에 의해 상당부분 충격이 흡수된다.
이중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것은 신축성을 지닌 등반용 로프이다.
 
추락 거리가 길더라도 충격을 흡수 할수있는 로프의 길이가 충분히 길다면,충격의 상당
부분을 로프가 흡수한다.
 
구러나 추락 거리가 짧아도 로프의 길이가 상대적 으로 짧다면 충격이 흡수되지 못해
로프,등반자,확보자,확보물 등의 확보 시스템이 견디지 못하는 충격이 발생 할수있다.
 

 



 
추락 계수(Fall Factor) 는 충격력을 결정하는 추락거리와 로프의 길이의 비율이며,추락
거리를 로프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선등자가 확보지점을 출발하여 중간 확보물을 설치하지 않고 10 m 오른다음
추락을 하면 추락거리는 20 m, 충격을 흡수 할수있는 로프의 길이는 10 m 이므로 추락
계수는 2가 된다.
 
다른 예를 들어, 선등자가 확보 지점을 출발하여 30 m 오른다음 중간 확보물을 설치하고
10 m 더 올라가다 추락을 하면 추락 거리는 20 m, 충격을 흡수할수있는 로프의 길이는
40 m 이므로 추락 계수는 0.5가 된다.
 
같은 20 m 를 추락 하여도 추락 계수로 알수있는 위험은 4배 차이가 난다.
 
추락 계수는 0 에서 2 사이의 값을 취하며,2는 등반중에 일어날수 있는 최악의 상황으로
확보 시스템이 견딜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충격이 발생할수 있다.
 

 


 
 
신체가 견딜수 있는 충격은 12 KN (약 1,224 kg) 이며,안전벨트,슬링,카라비너는 각각 15
KN,22 KN, 20 KN  을 견딜수 있다.
 
등반용 로프인 동적 로프를 사용할때 추락계수 2인 상황 으로 추락을 하면,신체는  약 9
KN, 카라비너는 15KN 의 충격을 받는다.
 
만약 정적 로프를 사용할때 추락 계수가 2 라면, 신체는 18 KN,카라비너는 30 KN 의 충격
력을 받게된다.
 
안전한 등반을 위해서는 추락 계수가 1을 넘지 않도록 해야한다.
 
추락 계수를 작게 하는 요령은 출발 직후에 중간 확보물을 자주 설치하고 높이 올라갈수
록 설치 빈도를 조금 줄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