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밍 트레이닝-종합
인공적인 장비 등에 의지하지 않고 오직 인간의 능력만으로 암벽을 오르는 방식
암벽등반을 스포츠화하여 인공으로 만든 암벽에서 경쟁하는 방식
루트에 대한 사전정보 없이 첫시도에 추락없이 등반하는 방식.
(스포츠클라이밍 경기는 온사이트가 기본임)
온사이트 실패 후 여러번 연습 후에 추락없이 그 루트를 등반하는 방식
위에 있는 확보물에 로프를 통과시킨후 지상의 확보를 받으며 올라가는 방식으로
초보자교육에 유용함.
루트에 대하여 사전정보(다른 등반자가 등반하는 것을 보거나 설명을 들었을 경우)를 얻은 후
첫번째 시도하여 추락없이 등반하는 방식
(예 : 확보자가 선등자의 등반을 본 후 등반했을 때)
7. 야니로(Yaniro) 또는 피겨 풔(Figure four) : 다리 홀드가 여의치 않아 팔위로 다리를 걸어
오버행을 넘어설 때의 자세
8. 펌핑(Pumping) : 격심한 근육운동이 계속되다 보면 혈액이 더 이상 산소공급을 감당하지
못하는 선에 이른다. 이때 대량의 젖산이 만들어 지는데 이런현상을 말한다.
(회복방법) (1) 천천히 심호흡을 하여 충분한 산소를 들여 마신다.(복식호흡)
(2) 손가락, 전완근을 스트레치 하거나 손을 털 듯이 흔든다.
(3) 팔전체를 빠르게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해 강제로 혈액을 공급하여 혈액내의
훈련의 단계 |
1개월 |
2개월 |
3개월 |
4개월 |
5개월 |
6개월 |
1, 2, 3, 4주 |
5, 6, 7, 8주 |
9,10,11,12주 |
13,14,15,16주 |
17,18,19,20주 |
21,22,23,24주 |
준비기(1단계) |
준비기(2단계) |
시험기 |
이행기(경기) |
단계, 휴식기)로 나눈다.
주목표 |
* 근육증대(심리적, 육체적 준비기로 강도보다는 양에 중점을 둔다-웨이트) * 기초체력 증가(유산소운동 - 에어로빅, 조깅, 수영, 자전거타기 등) |
부목표 |
* 근육내 협조작용의 개선 * 주말에는 큰벽(자연암벽, 인공암벽)에서 훈련 |
주목표 |
* 체력을 측정하여 모자라는 힘 보강(운동량은 변함없이 강도를 높인다.) |
부목표 |
* 제1목표인 근지구력과 제2목표인 최대근력의 힘 배합 * 추락에 대한 공포 없애기 |
* 혼합적응훈련의 예
요일 |
운동방법 |
강 도 |
양 |
월 |
최대근력(4-15move) 3회×5set이상 |
매우 세게 |
적 게 |
화 |
근지구력 (30-40move) 10set이상 |
세 게 |
중 간 |
수 |
스트레칭, 조깅 30분 |
||
목 |
최대근력(3회×10set 이상) |
매우 세게 |
적 게 |
금 |
지구력(50-60move) 7set이상 |
약 하 게 |
많 게 |
토 |
스트레칭, 조깅 30분 |
||
일 |
온사이트(큰벽, 자연암벽) |
세 게 |
중 간 |
주목표 |
리듬, 동작연결, 새로운 move 창조 |
부목표 |
2단계에서 부족했던 힘 충족 |
주목표 |
다양한 루트의 온사이트를 많이 경험한다. |
부목표 |
전국대회 전에 지방대회에 참가한다. |
나. 지구력(Stemina) : 1주 1-2회 → 부상방지를 위해 실시
ㅇ 종목당 10-12회×3∼5세트, 세트간 1분 휴식, 종목사이 5분 휴식
ㅇ 운동 둘째날 실시
ㅇ 서키트 트레이닝(종합적 체력트레이닝 1분x1종목x20회) 15분 - 1주 1회
【 중급자 】: 다음사항의 1, 2번만으로 충분하다.
① 피라미드(1달에 18회 이상) 1주 2-3회 실시, 세트간 1분 휴식
ㅇ 워밍업 8회×1set → 무게는 본인 최대근력의 75%
→ 6회×1set → 4회×1set → 2회×1set → 1회×2set(최대근력의 100%)
→ 2회×1set → 4회×1set → 6회×1set → 4회
② Static Dynamic (1주 1회 실시)
ex) 벤치프레스 : 가슴까지 봉을 내리고 3∼4초 머문후(Static) 번쩍 들어올린다. (Dynamic)
ㅇ 운동방법 : 워밍업 8회×1set → 3회×4∼6set 실시, 세트간 1분-1분30초 휴식
③ 버티기(프랑스 소수의 클라이머들이 실시, 부상위험 우려)-1주 2∼3회 실시
ㅇ 웨이트를 허리에 단 후 턱걸이 한 상태로 의자를 빼고 저절로 팔이 펴질 때까지 버틴다.
(6set실시, 세트간 3분 휴식)
ㅇ 고무줄 사용 또는 한 팔로 시행할 수도 있다.
암장에서의 훈련 |
1. 최대근력(Power) : 순간적인, 폭발적인 힘
; 4-15move로 본인 최고의 레드포인트 수준과 긴휴식(3분) 필요
① 암장에서 볼더링 : 5회반복 1세트로 3세트 또는 3회반복 1세트로 5세트
ㅇ 반복할때마다 문제의 유형을 바꿀것(작은홀드, 먼홀드, 흐르는홀드 등)
ㅇ 반복횟수사이는 2-3분을 쉬고 세트사이는 15분의 휴식을 취한다.
② Campus board : 30초간 20move×10set (1일 실시, 2-3일 휴식)
③ 한팔로 턱걸이(고무줄 사용 가능)
④ 한팔로 늘어뜨린 상태로 작은홀드 또는 흐르는 홀드에서 2-10초간 버티기
⑤ 발없이 L자(90°)로 작은홀드 또는 흐르는 홀드를 잡고 버티기
⑥ 5분간 Power 트레이닝의 예(다양한 홀드에서 실시)
- 1분 : 10개의 턱걸이 → 휴식
- 1분 : 25초간 작은홀드(흐르는흘드)에서 I자로 매달리기 → 휴식(35초)
- 1분 : " " L자로 " → 휴식(35초)
- 1분 : 10초간 " I자로 " → 휴식(50초)
- 1분 : " " I자로 " → 휴식(50초)
※ 부상방지를 위해서는 물을 많이 마셔야 하고 이는 혈액순환에도 매우 도움이 된다
2. 근지구력(Resistance) : 실제 경기등반에서 가장 필요
; 20-40move로 본인 최고의 온사이트 수준으로 실시, 등반시간의 1-2배 휴식
→ 상급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아주 힘이 들며 쉬는 곳이 없도록 함.
① 3회반복 1세트로 5세트 실시, 세트사이 15분 휴식
ㅇ 루트 1 : 15move(1분간 실시) 1분 휴식
ㅇ 루트 2 : 25 " (1:30초간 실시) 1:30초 휴식
ㅇ 루트 3 : 25 " (1:30초간 실시) 15분 휴식
※ 1set후 15-20분 휴식, 총 3set 실시, 1주 2-3회
② 2회반복 3세트, 3회반복 3세트, 4회반복 3세트, 세트사이 15분 휴식
ㅇ 루트 1 : 2분 등반(2~4분휴식), 2분 등반(15분 휴식)
ㅇ 루트 2 : 3분 등반(3~6분휴식), 3분 등반(3~6분 휴식), 3분등반(15분휴식)
ㅇ 루트 3 : 4회 반복
③ 25-35move : 3회 반복, 3세트 (준결승에 해당하는 길이와 어렵기로 훈련)
④ 35-45move : 3회 반복, 3세트 (결승에 해당하는 길이와 어렵기로 훈련)
3. 지구력(Stamina) :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쓸 수 있는 힘
; 40-70move로 본인의 온사이트 수준이하 루트를 만든다. 등반시간의 2-3배 휴식,
중도에 떨어 지면 지구력 트레이닝이 되지 않으므로 휴식점을 두고 아주 힘든 동작은 피해야 한다.
① 60move(5분)실시, 10-15분 휴식(실시방법은 근지구력과 같다. 3set 실시)
② 중간난이도의 루트로 3회 등반, 2분 휴식, 3세트 실시, 세 번째 등반할때는 간신히 완등하거나 끝에서 떨어지게끔 한다.
③ 트레이닝이 끝난후 20분이상 인공암장에서 메달림으로써 근육을 all-out시킨다.
④ 쉬운난이도의 루트로 5회 등반, 5분씩 휴식
*** 알아두세요! ***
♣ 본인의 최대근력이 강하고 지구력이 약하면 30-40move로 집중적 훈련
♣ 본인의 최대근력이 약하고 지구력이 강하면 10-15move로
♣ 2가지 함께 번갈아 연습하면 효과 만점.